사용했는데, 맥에서는 HOST버그로 인해 윈도우 사용자만 사용했다.
맥에서 안되는건 아니지만
맥을 쓰는 사원이 설정하는걸 귀찮아 하는 것 같아 그냥 두다가..
최근 소스 관리의 필요성을 느껴서
xcode에서도 기본으로 제공되는 GIT를 사용하기로 했다.
본인은 Windows7에서 eclipse를 주로 사용해서
연동은 eGit를 사용했다.
Git 설치는 알아서 잘하시리라 본다.
난 회사서버가 Centos라서 yum을 사용했고,
우분투에서는 아마 apt-get install git-core라고 하면 될 거다.
간단히 설치 후
root권한으로 유져를 추가한다. 꼭 git라고 안해도 되지만 보통 이렇게 설정하더라.
#>adduser git
#>chmod 777 /home/git
#>cd /home/git
테스트 디렉토리를 만든다.
#>mkdir test
#>cd test
#>git init
#>cd ..
#>git clone --bare test test.git
권한을 준다
#>chmod 777 test.git
이러면 빈 git 저장소가 생성되고
이제 사원이 쓸 계정을 만들어준다
#>adduser friend
비번도 설정해준다
#>passwd friend
#>scp -r test.git friend@아이피OR도메인:/home/git
서버쪽은 이걸로 끝이다.
이클립스에서는
uri : ssh://friend@아이피OR도메인:/home/git/test.git
계정에 friend와 비번넣고 인증하고
잘 사용하면 되겠다..
정리하는 것도 귀찮네..
에잇 블로그질도 못해먹겠다 그냥 수첩으로 쓰련다
- <a href="https://github.com/progit/progit/blob/master/ko/04-git-server/01-chapter4.markdown">참고 자료</a>
- <br />
- <br />
근데 이건 git 이라기보다는 그냥 ssh 로 원격접속아닌가요..
답글삭제